• 국회는 지금

    홈으로 > 국회소식 > 국회는 지금

    데이터산업 인재양성 국회 토론회…신입·경력 조화로운 지원정책 필요

    기사 작성일 2019-12-16 16:47:34 최종 수정일 2019-12-16 17:14:40

    •  
      url이 복사 되었습니다. Ctrl+V 를 눌러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  

    노웅래 과방위원장, '데이터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인재양성' 토론회 주최
    신입모집 10% 불과, 기업은 경력·석사 이상 요구하면서 악순환 반복
    기업당 데이터 인력 평균 3명 부족…재정여건상 인력유지 불가이유 높아
    中企, 인재육성→대기업 이직 반복…FA제도 도입 등 지원방안 강구해야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16일(월)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주최한 '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데이터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신규·경력 인력의 고른 양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16일(월) 국회에서 열린 '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에서 노웅래(왼쪽에서 여섯번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박병탁 기자)
    16일(월) 국회에서 열린 '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에서 노웅래(왼쪽에서 여섯번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박병탁 기자)

     

    발제에 나선 신현구 한국노동연구원 팀장은 "새로운 산업이 등장할 때 나오는 문제가 기업들이 사업영위 능력이 없어 경력자를 요구하는 것"이라며 "시장에는 경력자만 요구해 신규 진출자의 자리가 없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빨리 사람들을 양성해서 그런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 팀장이 데이터공급 기업 300곳을 설문조사한 결과 8.9%는 관련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고, 기업당 평균 2.6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공급 기업의 평균인력 규모는 44명으로, 이 중 데이터 관련 직무 종사자는 26.7명(60.7%)이었다. 관련 인력은 부족하지만 기업에서는 이직자와 퇴직자의 수가 적잖다. 기업당 데이터직무의 평균 퇴직인력은 2017년 1.2명, 2018년 1.3명, 2019년 7월 0.8명 등이었다. 기업들은 고용유지가 어려운 이유로 재정여건(34.7%)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근로자의 자발적 중도퇴직·이직(31.7%), 회사 특성상 인력 상시 유지 불필요(27.7%), 없음(6%) 등이 뒤를 이었다.

     

    신 팀장은 "답변을 보면 아직 안정적인 영업유지가 안 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프리랜서 인력 유지가 많을 것으로 보이는데, IT(정보통신)에서 프리랜서 고용은 장시간 근로, 갑질 등의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자발적 이·퇴직이 많은 점에 대해서는 "일이 힘든 것 아닌가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발제자인 손원길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팀장은 인재육성에서 신입과 경력의 적절한 비중을 강조했다. 손 팀장은 "취업포털에서 '빅데이터'를 키워드로 한 모집공고가 늘고 있지만, 신입사원 모집공고는 10%에 불과했다"며 "회사는 경력자 혹은 석사이상을 요구하고 있어 기업에서 원하는 수준으로 청년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 팀장은 미취업청년 대상 인재양성을 '응급치료', 대학교육과정부터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대응책을 '원인치료'로 진단하면서 둘 모두 병행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대학부터 기업이 원하는 인재육성 지원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산업수요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산업계와 학계·전문가들이 상시적인 소통을 통해 새로운 직업 발굴과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16일(월) 국회에서 진행한 ‘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고.(사진=박병탁 기자)
    16일(월) 국회에서 열린 '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재양성 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는 모습.(사진=박병탁 기자)

     

    토론자로 참석한 김형태 비투엔 부사장은 중소기업에 인재육성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부사장은 "시장에서 경력자를 구하기 어려워 신입을 뽑아 양성했다. (신입은)3년 이상 키워야 하고, 통상 그 동안은 다 투자"라며 "3년이 지나면 더 좋은 기업 환경을 찾아 간다. 중소기업 입장에서 사람이 쓸만하면 퇴직하는 일이 비일비재해 인력양성 의지가 꺽이는 일이 많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김 부사장은 스포츠업계의 FA(Free Agent·자유계약) 제도와 같은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몇 년 동안 선수를 키울 때까지는 구단이 (선수를)보유할 자격이 있어야 하는데, 저희 산업은 그냥 가고 싶으면 간다"며 "중소기업 우수인력의 타사 이직에 따른 보상제도 연구, 중기 인력채용에 대한 기술적·제도적 혜택 강화 등 인력양성 지원을 위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채진석 인천대 교수는 현 대학시스템에서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의 걸림돌로 '학점제한' 문제를 들었다. 채 교수는 "연계 전공은 36점으로 운영되고, 전공과목은 75~80점. 석사는 27~30학점이다"며 "제한된 학점으로 운영되는 대학 교과과정에서 무엇을 넣고, 넣지 말지 모범사례 같은 것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노웅래 위원장은 "국내 기업 및 기관의 빅데이터 도입률은 10%에 불과하다. 국내 기업들은 빅데이터 도입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전문인력 부족을 꼽는다"며 "데이터 기반으로 혁신을 시도하는 해외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데이터 인재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민기영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장은 "2018년 기준 국내 데이터 직무인력은 약 12만명에 이르지만 향후 5년 내에 약 2만 3천여명의 데이터 직무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조사됐다"며 "전산업계에 데이터 인력 평균 부족율은 16%로 인력 부족은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임정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빅데이터진흥과장은 "정부는 데이터·AI(인공지능) 경제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고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전년대비 4배 이상 예산을 투입했다. 2023년까지 전문인력 1만명 양성을 목표로 석박사급 고급인재 양성을 위한 AI대학원도 신설했다"며 "곧 발표될 AI국가전략에도 교육체계혁신, 육성 프로그램 확충 등의 내용을 담아 인력을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바르고 공정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박병탁 기자 ppt@assembly.go.kr

    • CCL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저작권 표시 조건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