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임위ㆍ본회의

    홈으로 > 국회소식 > 상임위ㆍ본회의

    국회 정개특위 "시민참여단 84%, 국회의원 선거제 개편 필요"

    기사 작성일 2023-05-17 14:33:44 최종 수정일 2023-05-17 16:57:42

    •  
      url이 복사 되었습니다. Ctrl+V 를 눌러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  

    정개특위, 선거제 개편 공론조사 시민참여단 설문조사 결과 발표
    '선거제 개편 필요' 응답은 숙의 전 77% → 숙의 후 84%로 증가
    비례대표 확대 의견은 숙의 전 27% → 숙의 후 70% 갑절 이상 늘어
    의원정수에 대한 의견은 현행유지 29%, 축소 37%, 확대 33%로 나타나
    중대선거구제보다 소선거구제 선호…도농복합형 선거제도는 과반 찬성
    남인순 위원장 "공론화 결과 법안심사 과정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것"

     

    지난 13일(토)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조사가 진행 중인 모습.(사진=KBS 유튜브 중계 갈무리)
    지난 13일(토)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조사가 진행 중인 모습.(사진=KBS 유튜브 중계 갈무리)

     

    국회 정치개혁 특별위원회(위원장 남인순)는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을 위한 공론조사 시민참여단의 설문조사 결과, '선거제도 개편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로 나타났다고 17일(수) 밝혔다. 이는 숙의 전(77%)보다 7%포인트 오른 수치다. 정개특위는 숙의형 공론조사를 통해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확인하고 국민과 정치권 모두가 수용 가능한 선거제도를 설계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숙의 전 조사)는 숙의토론회 모집에 동의한 만 18세 이상 남녀 534명을 대상으로 지난 1일(월)부터 이틀간 실시했다. 최종 조사(숙의 후 조사)는 숙의토론회 종료까지 참석한 시민참여단 469명을 대상으로 13일(토) 모든 숙의토론이 종료된 이후 휴대전화를 통한 웹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 비교·분석은 숙의 과정을 완료하고 조사에 모두 참여한 469명 기준으로 했다.

     

    민주주의와 선거제도 관련 인식에 있어서 숙의토론자 과반수가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가 잘 실현되고 있다"고 답변(68%)했으나, 국회의원 선거 결과가 유권자의 생각을 잘 대변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숙의토론자의 42%만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선거제도를 변경할 때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사항으로는 "선출된 국회의원이 국민 의견을 잘 반영해 법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법과 정책에 책임을 잘 져야한다"는 원칙이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이러한 응답 비율은 숙의 전(78%)과 숙의 후(81%) 모두에서 선거제 개편을 위한 다른 원칙(비례성·다양성)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지역구-비례대표 국회의원 비율과 관련해 숙의 전에는 "지역구 의석수를 늘리는 것이 좋다"는 의견(4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숙의 후에는 "비례대표 의석수를 늘리는 것이 좋다"는 의견(7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례대표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시민참여단은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해 ①여성·청년 등 다양한 국회의원을 뽑을 수 있어서(42%) ②국회의원이 지역구만이 아닌 국가를 위해 일할 수 있어서(33%) ③전문가들을 국회의원으로 뽑을 수 있어서(21%) 순서로 응답했다.

     

    비례대표 감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시민참여단은 그 이유로 ①비례대표 의원이 나라보다는 소속 정당을 위해 활동하므로(47%) ②비례대표 의원의 자질이 부족하므로(29%) ③비례대표 선정에 유권자 의사가 반영되지 않으므로(20%) 순서로 응답했다.

     

    지역구의 크기는 숙의 전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가 좋다는 응답(43%)과 한 선거구에서 3~5명을 선출하는 방식이 좋다는 응답(42%)이 비슷했다. 숙의 후에는 소선거구제가 좋다는 의견이 증가(43%→56%)한 반면 한 선거구에서 3~5명을 선출하는 방식이 좋다는 의견은 감소(42%→40%)했다.

     

    여러 선거구를 합해 한 선거구에서 4~7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되 의석배분은 정당득표율에 따르도록 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숙의 전에 비해 숙의 후에 반대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37%→54%)을 보였다.

     

    도시에서는 여러 개 선거구를 합한 선거구에서 세 명 이상의 국회의원을 선출하고, 농산어촌에서는 한 선거구에서 한 명을 선출하자는 '도농복합형 선거구제'와 관련해 숙의 전보다 숙의 후 찬성 비율이 증가(48%→59%)했다.

     

    비례대표 투표방식은 정당에만 투표하는 폐쇄형 명부식에 대한 선호(26%)보다 정당과 후보까지 투표하는 개방형 명부식에 대한 선호(72%)가 높게 나타났다. 비례대표 투표단위의 경우 숙의 전 권역을 기준으로 하자는 의견(45%)이 전국을 기준으로 하자는 의견(38%)보다 높았으나, 숙의 후 전국단위 비례대표에 대한 선호(58%)가 권역단위 비례대표제에 대한 선호(40%)보다 높게 나타났다.

     

    권역을 기준으로 비례대표를 선출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 17개 광역자치단체를 기준으로 나누는 방식(19%)보다는 6개 권역으로 나누거나(32%), 영남과 호남을 섞는 등 지역색을 약화시키는 방식(42%)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본인이 거주하는 광역단위에서 한 정당의 국회의원만 선출되는 것(19%) 보다는 여러 정당에서 국회의원이 선출되는 것(79%)을 바란다고 응답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숙의 전후로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자는 의견(14%→24%)과 연동비율을 확대하자는 의견(14%→28%)이 각각 증가해 시민참여단 과반수(52%)가 국회의원 의석수와 정당 득표율의 연동에 찬성했다.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환원하자는 응답은 약간 감소(48%→41%)했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대폭 감소(24%→7%)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회의원 정수와 관련해 국회의원 숫자를 줄이자는 의견은 숙의 전(65%)에 비해 숙의를 마친 후(37%)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현행 숫자를 유지하자는 의견(18%→29%)과 확대하자는 의견(13%→33%)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감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시민참여단의 과반수(56%)는 지금보다 100명 적은 200명이 적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증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한 시민참여단의 경우 50명 증원(35%), 100명 증원(28%) 순으로 응답했다.

     

    국회의원 숫자를 늘리되 그 비용은 국회의원의 세비와 활동비(보좌직원 수, 예산)를 줄여서 충당하는 것이 어떤지에 대한 질문에는 과반수가 찬성했다. 숙의 전후를 비교하면 찬성 의견은 감소(63%→55%)하고, 반대의견은 증가(29%→43%)했다.

     

    비례대표제 강화를 위한 국회의원 정수 확대가 필요한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숙의를 거친 후 증원에 동의하는 비율은 높아지고(25%→46%), 증원에 동의하지 않는 비율은 낮아지는(72%→52%) 모습을 보였다.

     

    남인순 위원장은 "숙의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국민이 원하는 정치개혁의 방향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며 "이번 공론화 결과가 법안심사 과정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일반 유권자들의 선택이 존중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생생한 국회소식' 국회뉴스ON
    김진우 기자 bongo79@assembly.go.kr

     

    • CCL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스 코리아 표시
      라이센스에 의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저작자 표시저작자 표시 : 적절한 출처와 해당 라이센스 링크를 표시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공지해야 합니다.
    • 비영리비영리 :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저작권 표시 조건변경금지 : 이 저작물을 리믹스, 변형하거나 2차 저작물을 작성하였을 경우 공유할 수 없습니다.